
(뉴스핏 = 김수진 기자) 경기도의회 교육행정위원회 이서영 도의원(국민의힘, 비례)은 18일 열린 경기도교육청 디지털인재국 행정사무감사에서 경기도 학생들의 디지털 기기 과의존 실태와 예방 대책을 점검하며 교육청의 실효적 대응을 주문했다.
이서영 도의원은 최근 3년간 청소년 미디어 이용습관 진단조사 결과를 제시하며, “인터넷 과의존 위험·주의 사용자군은 약 14%, 스마트폰 과의존 위험·주의 사용자군은 약 10% 수준이 유지되고 있다”고 말했다.
또한 디지털 중독이 학교 공부, 또래 관계, 교사 관계, 학교생활 적응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보고가 있다는 점을 언급하며, “교육청이 이 문제를 인지하고 있는 만큼 사전 예방 대책이 현장에서 체감될 수 있도록 작동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서영 도의원은 위험 사용자군 지원 방식이 멘토 지정 후 정기 상담 연 2회로 운영되고 있는 점을 지적하며, “연 2회 상담만으로 중독 해소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고 바판했다. 이어 “상담 외의 치유·지원 프로그램이 함께 마련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디지털 중독 예방 방식에 대해서도 의견을 제시했다. 스마트폰 이용시간을 제한하는 사이버안심존 운영 방식의 실효성에 대한 교육청의 판단을 묻고, “강제적 스마트폰 제한만으로는 한계가 있으며 예방과 교육을 병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학생의 디지털 기기 활용 능력을 높이기 위한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주요업무보고서에 기재된 40교 리터러시 교육 프로그램 지원 계획을 언급한 뒤, “일회성 지원이 아니라 교과 과정과 학교 생활 속에서 지속될 수 있는 구조가 마련돼야 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학부모의 디지털기기 이해 여부가 자녀 지도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짚으며, “학부모 대상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역시 반드시 병행돼야 한다”고 밝혔다.
마무리 발언에서 이서영 도의원은 “학교에서 학부모교육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조례는 이미 제정돼 있다”며, “학부모 교육이 현장에서 실질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경기도교육청이 적극적으로 지원해 달라”고 당부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