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핏 = 김호 기자) 파주시가 지난 6월 25일 세계보건기구(WHO)로부터 고령친화도시 국제 네트워크 가입 인증을 획득했다고 4일 밝혔다.
파주시의 고령친화도시 인증은 지난 2020년 여성가족부로부터 '여성친화도시', 지난 6월 24일 가결된 ‘파주시 아동친화도시 조성에 관한 조례’로 아동이 행복한 도시 조성 준비에 이어 고령친화도시 인증으로 이른바 ‘삼친(三親) 도시'를 가치로 내걸고 남녀노소 모두가 골고루 잘 사는 도시로 발돋움해 나간다는 파주시의 새로운 비전 실현에 확고한 발판이 되어줄 것으로 기대된다.
고령친화도시 국제 네트워크는 고령화의 세계적 추세에 따라 2006년부터 초고령사회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세계보건기구(WHO)에서 추진하는 범세계적 국제 관계망으로, 그간 52개국 1,540여 개 도시가 고령친화도시로 인증받은 바 있으며, 국내에서는 총 60개 지자체가 고령친화도시로 인증받은 바 있다.
파주시가 고령친화도시 인증에 나선 것은 초고령사회에 대비해 노인에게 더 안정적인 삶의 기반을 마련하기 위한 것이다. 우리나라는 지난해 12월 예상보다 빨리 65세 이상 인구가 전체 인구의 20%를 넘어서는 초고령사회에 진입하면서, 이에 대응하기 위한 국가차원의 대책들이 잇따라 쏟아지는 등 목전의 현실로 다가온 인구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전사회적 움직임이 빨라지는 추세다.
파주시는 현재 65세 이상 인구가 전체 인구의 16.7%를 차지해 초고령사회 기준에 도달하진 않았지만, 매년 노인 인구가 1% 가량 늘어나며 초고령사회에 점차 근접해가는 추세를 나타내고 있어 실질적으로 초고령사회에 준하는 대책 마련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파주시는 지난해 5월 파주시민 전 세대가 신체적·정서적·사회적으로 건강한 삶을 영위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하여 고령친화도시 조성 연구용역을 실시해 올해 4월 세계보건기구에 고령친화도시 인증을 위한 네트워크 가입 신청서를 제출했으며, ▲외부환경과 시설 ▲주거환경 안정성 ▲교통수단 편의성 ▲건강 및 지역사회 돌봄 ▲사회참여와 일자리 ▲의사소통과 정보 ▲사회적 존중 및 통합 ▲여가 및 사회활동 등 8개 영역 심사 등을 거쳐 인증 승인을 이뤄냈다.
특히 이번 인증 승인과정에서는 고령층을 위한 정책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고 파주시는 전했다. 시는 기초생활보장 노인가구에 지급하는 월동 난방비를 작년보다 101가구 늘어난 총 2,965가구에 지급하고, 어르신들의 건강증진 향상을 위하여 2024년부터 경로당에 보급한 안마의자를 2026년까지 총 300개소에 지원할 계획이다.
또한, 노인일자리 사업을 확대하여 3,551명의 어르신들에게 맞춤형 일자리를 제공, 어르신들의 지역사회 참여도를 높였으며, 올 초에는 경로당 양곡을 ‘파주쌀’로 지원하는 업무협약을 맺으면서 지역 특산품을 이용한 지원 사업도 추진해왔다.
오는 8월에는 운정 다누림 노인복지관이 개관을 앞두고 있으며, 파주 북부권의 어르신들을 위한 문산 노인복지관(가칭)도 올 3월에 착공하여 2026년 12월에 준공될 예정이다.
고령친화도시 인증에 따라 앞으로 파주시는 고령친화도시 조례를 제정하고, AI로봇을 활용한 건강관리사업, 폭염 대비 에너지 복지 지원사업, 노인일자리 지원 등 8대 영역 42개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김경일 파주시장은 “이번 고령친화도시 인증은 초고령사회에 적극 대응하며 세대 간 화합을 이루어 지속가능한 파주시를 만들어 나갈 중요한 기반이 될 것”이라며 “여성친화도시에 이어 아동친화도시, 고령친화도시로 발돋움하게 된 만큼 파주시를 남녀노소 모두가 기본적인 생활을 누리며 안정적이고 풍요로운 삶을 살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